★ Sequence 데이터베이스 객체에는, 테이블, 계정, 제약사항이 있는데, 이 데이터베이스 객체중 하나이다. 오라클 전용 객체(다른 DBMS에는 없음) 일련 번호를 생성하는 객체 주로 식별자를 만드는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 PK컬럼에 일련 번호를 넣을 때 많이 사용한다. 시퀀스 객체 생성하기 create Sequence 시퀀스명[옵션]; 시퀀스 객체 삭제하기 drop sequence 시퀀스명; 시퀀스 객체 사용하기 시퀀스명.nextVal > 주로 사용함. 시퀀스명.currVal > 가끔 사용함. ■ 사용 ex) create sequence seqNum; drop sequence seqNum; select seqNum.nextVal from dual; --10 > 11 번호는 서로 영향을 받지 않음..
★ 형변환 함수 1. to_char(숫자) : 숫자 > 문자 2. to_char(날짜) : 날짜 > 문자 ***** 3. to_number(문자) : 문자 > 숫자 4. to_date(문자) : 문자 > 날짜 ******** ■ 1. to_char(숫자, 형식문자열) 형식문자열 구성요소 a. 9 : 숫자 1개를 문자 1개로 바꾸는 역할. ex) '@' || to_char(weight, '99999') || '@', 5자리를 확보하는데 부족한 자리는 스페이스로 채움 > 빈자리를 스페이스로 치환 >%5d b. 0 : 숫자 1개를 문자 1개로 바꾸는 역할. ex) '@' || to_char(weight, '00000') || '@' 5자리를 확보하는데 부족한 자리는 0으로 채움 > 빈자리를 0으로 치환 > %..
★ Date_Time_Function (날짜 시간 함수) sysdate 현재 시스템의 시각을 반환 자바로 따지면, Calendar.getInstance() data sysdate months_between() : 시각 - 시각 = 시간(월) add_months() : 현재 일 수 에서 한달을 더하는 것 날짜 연산 1. 시각 - 시각 = 시간(일) 2. 시각 + 시간 = 시각 3. 시각 - 시간 = 시각 ★ 사용 예 1. 시각 - 시각 = 시간(일) select name, ibsadate, round(sysdate - ibsadate) as "근무일수", round((sysdate-ibsadate) / 365) as "근무년수", -- 사용 금지 round((sysdate-ibsadate) * 24) as..
★ 함수 1. 내장형 함수(Built-in Function) 2. 사용자 정의 함수(User Function) ★ 집계 함수(Aggregation Function) 1. count() 2. sum() 3. avg() 4. max() 5. min() ■ 1. Count() 결과 테이블의 레코드 수를 반환한다. number count(컬럼명) null 레코드는 제외된다. 사용 ex) select name from tblCountry; -- 테이블의 레코드 개수 select count(name) from tblCountry; -- 'AS' 에 속한 나라 갯수? select count(name) from tblCountry where continent = 'AS'; select capital from tblCo..
★ Order by 절 결과셋의 정렬(O) 원본 테이블의 정렬(사용자가 관여 불가능 > 오라클 스스로) oredr by 정렬 컬럼 (asc : 오름차순 | desc : 내림차순) ★ Order By 절 쓰는법 select 컬럼리스트 -- 3. 원하는 컬럼들을 from 테이블 -- 1. 테이블로부터 where 조건; -- 2. 원하는 행들을 order by 정렬기준; -- 4. 순서대로 ■ Order By 사용예제 select * from tblCountry order by name asc; select * from tblCountry order by name desc; --null 컬럼을 대상으로 정렬 select * from tblCountry where population is not null ord..
★ 문제 상근이의 동생 상수는 수학을 정말 못한다. 상수는 숫자를 읽는데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수학을 못하는 상수를 위해서 상근이는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문제를 내주었다. 상근이는 세 자리 수 두 개를 칠판에 써주었다. 그 다음에 크기가 큰 수를 말해보라고 했다. 상수는 수를 다른 사람과 다르게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어, 734와 893을 칠판에 적었다면, 상수는 이 수를 437과 398로 읽는다. 따라서, 상수는 두 수중 큰 수인 437을 큰 수라고 말할 것이다. 두 수가 주어졌을 때, 상수의 대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소스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