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필기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2장.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주요 키워드 정리)

2022. 8. 4. 17:55
728x90

2장.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2-0.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지능형 초연결망 :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추진중인 사업으로,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변화에 따라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부 주관 사업
  •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에서 소유한 자원을 가상화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 중앙 제어
  • IOT(사물인터넷) :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 제공
  • IOT 관련 용어
    • M2M :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 메시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홈 네트워킹, 특수 목적을 위한 네트워크
    • 와이선 :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 UWB :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
    • 피코넷 :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기술
    • USN : 각종 센서로 다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
    • SON : 스스로 주변 상황에 맞추어 망을 구성
    • 저전력 블루투스 : 연결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
    • NFC : 고주파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 : 각종 컴퓨터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용어
    •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 소비자와 그 파트너와 인프라를 구성하여 정보와 자원 공유
    • 인터클라우트 컴퓨팅 : 각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동하거나 동적 할당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원연결
    • 파스타 : S/W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기타 용어
    • 모바일 컴퓨팅 : 휴대형 기기로 자유로이 업무를 처리
    • NDN :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를 전송
    • NGN : 유선망 기반 차세대 통신망
    • 올 IP : 모두 IP 기반 망
    • WBAN : 몸에 심는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 연결
    • GIS : 지리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
    • 애드혹 네트워크 : 재난 현장과 같이 유선망 구축X,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만 사용
    • 네트워크 슬라이싱 : 5G 핵심 기술,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
    • 파장 분할 다중화 :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기술
    •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된 연계데이터
    • SSO : 한번의 로그인이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 가능
    • 스마트 그리드 : 정보 기술을 전력에 접목해 효율성을 향상

 

2-1. 네트워크 구축

  • 통신망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 규약에 의해 연결한 통신 설비의 집합
  • 배치하는 방법
    • 성형(Star, 중앙 집중형) : 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 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구성 형태,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링형(Ring,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 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
    • 버스형(Bus) : 한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연결, 물리적 구조 간단
    • 계층형(Tree) :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 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회선 이웃하는, 단말 장치는 다시 연결
    • 망형(Mesh)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노드의 연결성 향상
      • ex) 25개의 노드 망형? -> (25*24)/2 = 300개의 회선, 24개의 포트
  • 네트워크 분류
    • 근거리 통신망(LAN) :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자원을 연결하여 구성
    • 광대역 통신망(WAN) : 멀리 떨어진 사이트들을 연결하여 구성
    • VLAN : 물리적인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분리하는 기술

 

2-2. 스위치

  •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L2 스위치 : MAC 주소 기반 프레임 전송
  • L3 스위치 : IP 주소 기반 패킷 전송
  • L4 스위치 : 로드밸런서 부착
  • L7 스위치 : 정밀한 로드 밸런싱
  • 백본 스위치 :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백본', 스위칭 역할을 하는 장비

 

2-3. 경로제어/트래픽제어

  • 경로제어 : 송,수신 측간의 전송 경로 중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경로 제어표를 참조해서 이루어지며, 라우터에 의해 수행
  • 경로제어 프로토콜
    • IGP(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하나의 자율시스템(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최대 홉수를 15로 제한
      • OSPF : RIP의 단점을 보완, 대규모 네트워크에 효율적
    • EGP(외부 게이트 프로토콜)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 BGP :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듬
  • 트래픽제어 : 네트워크를 보호, 성능 유지 등 효율적 이용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양을 조절하는 기능
    • 흐름제어 :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
      • 정지대기: 수신측의 확인 신호를 받은 다음 패킷을 전송
      • 슬라이딩 윈도우 : 수신 통지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
    • 폭주제어: 네트워크 사이의 패킷 수를 조절하여 오버플로우를 방지
    • 교착상태 방지 : 기억공간이 꽉차 있을 때, 다음 패킷들이 기억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2-4. S/W 보안 관련 신기술

  • S/W 관련 용어
    • 인공지능 :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 지능적인 작업수행
    • 뉴럴링크 : 일론 머스크가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
    • 딥러닝 :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 기반 기계 학습 기술
    • 전문가 시스템 : 전문가가 수행하는 고도의 업무지원
    • 가상현실 :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X, 환경이나 상황 구현
    • 증강현실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정보 부가
    • 혼합기술 : 가상현실 + 증강현실
    • 그레이웨어 : 악성코드 공유 웨어
    • 매시업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만드는 기술
    •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웹 페이지 제공 신개념 제작 기술
    • 시맨틱 웹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는 차세대 지능형 웹
    • 증발품 : 배포 계획이 발표되었으나, 배포가 되지 않는 것
    • 오픈 그리드 서비스 : 웹 서비스를 그리드상에서 제공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 기업의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 가능하게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
    • 서비스 형 소프트웨어 :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 S/W
    • 복잡 이벤트 처리 : 의미 있는 것 만을 추출 할 수 있도록 정의
    • 디지털 트윈 : 현실 속의 사물을 S/W로 가상화한 모델
    • 텐서플로 : 구글의 브레인팀이 만든 오픈소스 S/W 라이브러리
  • 보안 관련 용어
    • 블록 체인 :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금융거래 정보를 참여자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
    • 분산 원장 기술 : 분산 저장되어 지속적 갱신
    • 양자 암호키 분배 :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
    •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 개인정보 위험 관리 기술
    •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 개발자의 지식 재산권을 보호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 보수
    • 서비스형 블록체인 : 블록체인 앱의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 제공
    • OWASP : 보안이 취약한 부분을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
  • 개발보안 관련 기관
    • 행정안전부 : 개발 보안 정책을 총괄한다
    • 한국인터넷진흥원 : 개발 보안 정책&가이드 개발
    • 발주기관 : 개발 보안의 계획을 수립
    • 사업자 : 보안 관련 기술 수준 및 적용 계획 명시
    • 감리법인 : 감리 계획을 수립하고 협의 한다

 

2-5. HW 관련 신기술

  • 종류
    • 고가용성 : 긴 시간 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
    • 3D 프린팅 : 대상을 평면이 아닌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제 물체로 만들어냄
    • 4D 프린팅 : 특정 시간이나 환경조건이 갖추어지면 스스로 형태를 변화
    • RAID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배열을 구성하여 분산 저장
    • 앤스크린 :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 이용
    • 컴패니언 스크린 : TV 방송 시청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 신클라이언트 PC : 기본적 메모리만 갖춘 개인용 컴퓨터
    • 패블릿 : 폰과 태블릿의 합성어
    • 멤스 : 기계 구조를 미세 가공하여 전기 기계 동작이 가능하도록한 초 미세장치
    • 트러스트존 기술 : 일반 구역과 보안 구역 분할 관리
    • 엠디스크 : 한번의 기록만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 저장장치
    • 멤리스터 : 메모리+레지스터

 

2-6. Secure OS

  • 기존 운영체제에 보안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안 기능을 갖춘 커널을 이식하여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보호하는 OS

 

2-7. DB관련 신기술

  • 빅데이터 : 기존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 브로드 데이터 : 효율적이고 다양한 데이터로,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
  • 메타 데이터 :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데이터
  • 디지털 아카이빙 :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 하둡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 맵리듀스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 타조 :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 데이터 다이어트 :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중복 배제하여 나누어 저장
  • 데이터 마이닝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 집합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용하고 가능성 있는 정보를 발견
  • OLAP :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 결정

 

2-8. 회복/ 병행제어

  • 회복 : 트랜잭션들을 수행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DB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되기 이전으로 복구시키는 작업
  • 장애 유형
    • 트랜잭션 장애, 시스템 장애, 미디어 장애
  • 회복 기법
    • 연기 갱신 기법, 즉각 갱신 기법, 그림자 페이지 대체 기법, 검사점 기법
  • 병행 제어 : 다중 프로그램의 이점을 활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 트랜잭션 병행 수행 시, 일관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상호작용을 제어
  • 기법의 종류
    • 로킹 : 주요 데이터의 액세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하는 것
    • 타임 스탬프 순서 : 트랜잭션 실행 전에 시간표를 부여하여 부여된 시간에 따라 작업 수행
    • 최적 병행 수행 : 대부분의 트랜잭션이 판독
    • 다중 버전 기법 : 타임 스탬프의 개념 이용, 갱신될 때 마다 버전을 부여 관리
  • 로킹단위 :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

 

2-9. 교착상태

  • 교착상태는 상호배제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 2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충분 조건
    • 상호배제 :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 공유자원 사용
    • 점유와 대기 :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자원 추가 점유시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함
    • 비선점 :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때 까지 강제로 빼앗지 않는다.
    • 환형대기 : 공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면서 앞,뒤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
  •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 예방 기법 : 사전에 시스템 제어, 네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를 제거
    • 회피 기법 : 교착 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가는 방법
    • 발견 기법 : 교착 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발견
    • 회복 기법 : 교착 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할당된 자원 회복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정보처리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4장. 시스템 보안 구축 : 중요 키워드 정리)  (1) 2022.08.04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3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중요 키워드 정리)  (0) 2022.08.04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1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 주요 키워드 정리)  (0) 2022.08.04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3장. 응용 SW 기술 활용 : 주요 키워드 정리)  (0) 2022.08.03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1장. 서버프로그램 구현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주요 키워드 정리)  (0) 2022.08.03
'정보처리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4장. 시스템 보안 구축 : 중요 키워드 정리)
  •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3장.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중요 키워드 정리)
  •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1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 주요 키워드 정리)
  • 4과목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3장. 응용 SW 기술 활용 : 주요 키워드 정리)
IT의 큰손
IT의 큰손
IT계의 큰손이 되고 싶은 개린이의 Log 일지
Developer Story HouseIT계의 큰손이 되고 싶은 개린이의 Log 일지
IT의 큰손
Developer Story House
IT의 큰손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57)
    • 정보처리기사 필기 (18)
    • 정보처리기사 실기 (12)
    • 정보처리기사 통합 QUIZ (12)
    • 빅데이터 (11)
    • 안드로이드 (11)
    • 웹페이지 (108)
    • 자바 (49)
    • SQLD (3)
    • 백준 알고리즘 (76)
    • 데이터베이스 (41)
    • 깃허브 (2)
    • Library (14)
    • Server (31)
    • 크롤링&스크래핑 (3)
    • Spring (23)
    • Vue.js (13)
    • React (27)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Developer Stroy House

인기 글

태그

  • IT자격증공부
  • 알고리즘
  • css
  • IT개발자
  • 코딩테스트
  • jquery
  • 개발자
  • ajax
  • DBA
  • DB
  • 자바
  • 개발블로그
  • 정보보안전문가
  • JavaScript
  • 웹개발자
  • java
  • it
  • 정보처리기사필기
  • html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React
  • 백준
  • 프론트엔드
  • jsp
  • 앱개발자
  • 백엔드
  • 웹페이지
  • IT자격증
  • 웹개발

최근 댓글

최근 글

Designed By hELLO
IT의 큰손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2장.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주요 키워드 정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